한국 노동시장의 비정규직 증가 Cause 에 대한 실증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31 17:01
본문
Download : 한국 노동시장의 비정규직 증가 원인에 대한 실증연구.hwp
제2장 선행 연구 검토
선행 연구 가운데 비정규직이 증가한 原因을 규명하는데 초점을 맞춘 연구는 드물고,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노동조건 reality(실태) 를 analysis하거나 기업의 유연성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대부분이다. 마지막으로 제7장 結論에서는 지금까지 analysis결과를 요약하면서 함의를 살펴보고, 논문의 성과와 한계를 정리(arrangement)한다.1980년대 이래 비정규직이 증가한 원인을 규명하고, 인적구성 변화, 경제환경 변화, 정규직 보호 완충장치, 산업구조 변화, 인사관리전략 변화, 노사간 힘관계 변화 등 6개 가설을 검증하며, 이상의 분석 결과로부터 시사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한국노동시장의비정규 , 한국 노동시장의 비정규직 증가 원인에 대한 실증연구경영경제레포트 ,
Download : 한국 노동시장의 비정규직 증가 원인에 대한 실증연구.hwp( 43 )
순서
,경영경제,레포트
제1장 서론
제1절 문제제기
제2절 논문의 구성
제2장 선행 연구 검토
제1절 연구문헌
제2절 실증analysis
제3장 연구 방법
제1절 연구 방법
제2절 가설
제4장 개인의 비정규직 취업 결정요인
제1절 analysis 모형
제2절 data(資料)와 변수
제3절 기술통계
제4절 실증analysis 결과
제5절 소결
제5장 기업의 비정규직 사용 결정요인
제1절 analysis 모형
제2절 data(資料)와 변수
제3절 기술통계
제4절 실증analysis 결과
제5절 소결
제6장 비정규직 증가 原因
제1절 analysis 모형
제2절 data(資料)와 변수
제3절 단위근 검정
제4절 기술통계
제5절 실증analysis 결과
제6절 소결
제7장 結論
제1절 요약과 함의
제2절 성과와 한계
부표
부도
제6장 비정규직 증가 原因에서는 거시지표를 사용하여, 노동공급, 노동수요, 노사관계가 1980년대 이래 비정규직 증가에 미친 effect을 시계열 analysis하고, 1987~88년 격변기와 1997년말 외환위기 전후를 통제한 상태에서 전두환‧노태우‧김영삼‧김대중 정권으로 구분하여 시계열 analysis한다.
제1절에서는 다수의 연구가 출발점으로 삼고 있는 내부노동시장론과 Pfeffer and Baron(1988)을 살펴본다. 이밖에 연구는 주로 양적 또는 질적 analysis을 수행한 뒤 analysis 결과로부터 시사점을 찾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들도 내부노동시장론 내지 고용유연화론을 출발점으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Pfeffer and Baron(1988) 등이 고용의 외부화 내지 비정규직 증가 요인에 초점을 맞추고는 있지만, 내부노동시장론을 출발점으로 하여 여러 가지 요인을 병렬적으로 제시하는 수준을 벗어나고 있지 않다. 이것은 개인의 비정규직 취업 결정요인(제4장), 기업의 비정규직 사용 결정요인(제5장), 1980년대 이래 비정규직 증가 原因(제6장)을 analysis하기에 앞서, 선행 연구들로부터 연구방법론과 관련된 …(drop)






1980년대 이래 비정규직이 증가한 Cause 을 규명하고, 인적구성 變化, 경제환경 變化, 정규직 보호 완충장치, 산업구조 變化, 인사관리전략 變化, 노사간 힘관계 變化 등 6개 가설을 검증하며, 이상의 分析 결과로부터 시사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 노동시장의 비정규직 증가 Cause 에 대한 실증연구
한국노동시장의비정규
레포트/경영경제
설명
다. 제2절에서는 양적 analysis 방법론을 사용한 선행 연구들을 횡단면 analysis(가구조사, 사업체조사)과 시계열 analysis(거시지표) 등 연구방법론에 따라 구분하여 살펴본다. Atkinson(1984, 1987)의 the gist-주변부 모델을 둘러싼 유연성 논쟁과 Way(1992)의 노동력 혼합전략(strategy)을 살펴보고, 기업의 유연성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된 영미권에서 연구 경향을 비판하면서 국가와 제도의 역할을 강조한 Kalleberg(2001)를 살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