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교육학] 겨울철 별자리와 신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8 06:25
본문
Download : 겨울철 별자리 보고서.hwp
이것은 M81이 나선은하 가운데 가장 밀도가 높은 은하이기 때문으로 거대 나선 은하인 M31에 비해 2배나 밀도가 높다. 이 별은 2.2등성의 미자르와 4.8등성의 알코르가 각도를 이루며 약 12분 간격으로 나란히 늘어선 유명한 광학적 쌍성으로 옛날 로마에서 병사들의 시력검사로 이용되었다고 한다. 큰곰자리에서 가장 밝은 은하인 M81과 M82는 국부은하군 바깥에 있는 가장 가까은 은하군의 대표들이다. 예를 들어 가장 잘 알려져 있는 국자모양의 북두칠성에서 네모부분의 끝에 있는 두 개의 별(알파별과 베타별)을 잇고 그 길이의 5배쯤 연장한 곳의 정북에서 언제나 빛나는 북극성을 찾아낼 수 있다. 국자의 손잡이 끝에서 두 번째의 별(미자르)에는 알코르라는 귀여운 별이 바싹 붙어 있다. 감마별과 알파별을 연결하는 연장선 위에 두 별사이의 거리에 약 2배 거리에 위치한 7등급의 M81과 M82가 그것이다. 구경 15cm면 희미한 무리(할로)로 감싸인 긴 타원형의 모습과 핵이 뚜렷하고 밝게 보인다. 그것은 북두칠성에서 여러 가지 별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 은하 안에 있는 성운 중에는 베타별 바로 동쪽에 있는 행성상 성운 M97이 재미있다.
다. 성운 중심과 남서 부분에 별의 존재가 있는 듯하나 사실여부는 불확실하다. 많은 도움 되실꺼예요.
설명
[초등교육학] 겨울철 별자리와 신화
겨울철 별자리와 그 신화에 관해 총 망라한 資料입니다. 25cm로는 성운의 윤곽이 상당히 드러난다. M81은 아름다운 나선은하로 파인더나 쌍안경으로도 쉽게 찾을 수 있다. M81의 겉보기 지름은 10`정도인데 장축의 실제 지름은 36,000광년으로 그다지 크진 않다. 구경 6cm정도면 한 면을 볼 수가 있다. 성운 내부는 사진처럼 눈의 위치가 선명하지 않고 불분명한 모양의 보다 어두운 지역이 보이고 명암차가 조금 느껴진다. 두 은하 모두 보데가 발견했다. 이들 대부분의 구성원들은 절대등급 -4.5등급보다 높아 매우 광도가 높다.
순서
별자리, 겨울철, 큰곰자리, 오리온자리, 마차부, 카시오페아, 용자리, 쌍둥이자리,
겨울철 별자리와 그 신화에 관해 총 망라한 자료입니다. 일찍이 로스경이 이 행성을 보고 둥근 성운 안에 암흑부가 두 개 있어 부엉이의 얼굴과 닮았다고 하여 `부엉이 성운`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15cm 저배율에서는 표면이 일정하게 밝은 모습이나 고배율에서는 중앙을 가르는 암흑대가 쐐기모양으로 가장자리 아래에서 10등급의 별도 볼 수 있다. 특히 M82는 지금부터 150만 년 전에 대폭발을 한 은하로 유명하고, 강한 전파를 내고 있다. 그러나 전체 질량이 2,500억 배로 우리 은하를 크게 능가한다.
Download : 겨울철 별자리 보고서.hwp( 80 )
많은 도움 되실꺼예요.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큰곰자리에는 소망원경으로 즐길 수 있는 외부은하가 두 개 있다.
1)큰곰자리(Ursa Major) 적경 10시, 적위 +48도
북두칠성은 큰곰자리의 허리에서부터 꼬리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별자리의 시작점으로 적합하다. , M82는 담배모양의 은하로 어둡지만 더 흥미로운 관측대상이 다. 은하의 중심에는 방대한 숫자의 적색거성 및 황색거성이 있어 보통 나선 은하들보다 황색에 가까운 색을 낸다. 두 은하는 겨우 38`거리 떨어져 있어 낮은 배율의 망원경에서는 함께 쌍으로 보인다. 겉보기 등급으로는 9.5등급으로 15cm로는 아무 구조도 보이지 않고 다만 작고 둥글며 매우 어둡게 보일 뿐이다. 구경 20cm이면 중앙에서 동쪽 끝 1/3지점에서 또 하나의 암흑대를 볼 수 있고 중심지역이 보다 불규칙한 밝기의 얼룩으로 나누어져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