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시설] 휠체어 사용자의 테이블 활동을 위한 구조적 제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6 23:50
본문
Download : [노인시설] 휠체어 사용자의 테이블.hwp
그러므로 휠체어의 규격과 사용자의 활동능력에 무리가 없는 활동공간이 필요하다. 이외에도 규격이 상이한 개인용 휠체어가 있으므로 테이블은 최대수용치를 기준으로 제작되어야 한다.
-밑의 폭이 75cm이상, 높이가 65cm이상, 깊이가 45cm이상의 공간이 필요하다.
순서
24“ 수동 구륜방식이다.
노인시설,휠체어 사용자의 테이블 활동을 위한 구조적 제원
Download : [노인시설] 휠체어 사용자의 테이블.hwp( 29 )
[노인시설] 휠체어 사용자의 테이블 활동을 위한 구조적 제원
설명
2. 손이 닿는 거리가 짧다.
휠체어 사용자의 활동시 일반 평지/책상에서의 작업, 측면에 테이블을 둔 작업은 불가능하거나, 신체/역학적으로 근골격계의 병변을 유발 할 수 있다아 그러므로 휠체어의 규격과 사용자의 활동능력에 무리가 없는 활동공간이 필요하다.
다.
레포트 > 의학계열
-화단은 휠체어 앞부분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있어야한다.
대부분 사용하고 있는 휠체어는 보급형 성인용으로써 팔받이가 분리되지 않는 고정형으로
![[노인시설] 휠체어 사용자의 테이블-8444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B%85%B8%EC%9D%B8%EC%8B%9C%EC%84%A4%5D%20%ED%9C%A0%EC%B2%B4%EC%96%B4%20%EC%82%AC%EC%9A%A9%EC%9E%90%EC%9D%98%20%ED%85%8C%EC%9D%B4%EB%B8%94-8444_01.jpg)
![[노인시설] 휠체어 사용자의 테이블-8444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B%85%B8%EC%9D%B8%EC%8B%9C%EC%84%A4%5D%20%ED%9C%A0%EC%B2%B4%EC%96%B4%20%EC%82%AC%EC%9A%A9%EC%9E%90%EC%9D%98%20%ED%85%8C%EC%9D%B4%EB%B8%94-8444_02_.jpg)



-앞(바닥에서 38cm-120cm의 높이), 옆(바닥에서 23cm-135cm의 높이)정도의
휠체어 사용자의 활동시 일반 평지/책상에서의 작업, 측면에 테이블을 둔 작업은 불가능하거나, 신체/역학적으로 근골격계의 병변을 유발 할 수 있다.
활동이 가능하나, 이는 체격, 관절가동범위, 운동능력에 의해 影響을 받는다.
1. 유효 무릎공간이 필요하다
-휠체어를 탄 경우는 손이 닿는 거리가 짧아 활동범위가 작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