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angeBehavior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1 10:35
본문
Download : StrangeBehavior.hwp
물론 심뇌동일론이 논리적으로 타당하다고 완벽하게 증명된 것은 아니지만 심뇌동일론 역시 하나의 가능성이므로 배제할 수는 없는 것이다. 또 인공지능이라는 용어…(To be continued )
설명
레포트/공학기술



Download : StrangeBehavior.hwp( 29 )
,공학기술,레포트
StrangeBehavior
StrangeBehavior
StrangeBehavior , StrangeBehavior공학기술레포트 ,
순서
다. 이것이 바로 기능주의 functionalism 이라는 것인데이것은 심적 과정을 물리적 과정과 동일한 것으로 보는 심신동일론과 더불어 유물론적 일원론에 속한다고 할 수 있따 이러한 주장에 따른다면, 예를 들어 심뇌동일론 Mind-Brain identity theory 이 맞다고 가정한다면 만약 컴퓨터工學(공학) 이 발전하여 컴퓨터의 구조를 인간의 뇌와 똑같이 만들 수 있다면 인간과 마찬가지로 로봇도 ‘마음’을 가졌다고 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작가의 주장은 인공지능이 아무리 발달하여도 로봇이 마음을 가질 수 없을 것이라는 것이지만 마음에 관한 여러가지 理論들을 살펴본다면 꼭 그렇지만은 않을 것이다. 한편 마음을 육체의 기능으로 보는 견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혼론(De Anima)>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인간의 마음이라는 것이 유기체의 기능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마음과 육체의 관계에 마주향하여 는 마음이 육체와 전혀 다른 별개의 실체라는 것은 데카르트나 플라톤과 피타고라스에게까지 소급되는 오래된 이원론적 전통에서 유지되고 있는 주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