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메논 - 양은주 교수 요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4 06:51
본문
Download : 양은주교수-메논요약.hwp
소크라테스의 대화는 상식적이고 평범한 문제에서 처음 해서 많은 질문을 해가며 상대방이 부담을 느끼지 않고 솔직하게 자기가 알고 있는 것을 말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소크라테스는 상대방의 말을 기억해 두었다가 스스로 오류를 인정하게 한다.
메논 양은주 요약





☀산파술
1.메논의 무지의 자각
-소크라테스와의 대화를 통해 메논은 자신이 그동안 알고 있다고 생각했던 “덕”이라는 것을 사실은 알지 못하고 있었음을 깨닫게 된다
그것은 상대방이 스스로 의문을 가지고 바른 대답을 얻을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함이었다.
다. 즉, 자신의 무지를 고백하는 것으로 대화가 끝난다.
설명
순서
[교육학] 메논 - 양은주 교수 요약
-소크라테스는 “덕이란 무엇인가?” 라고 묻는 메논에게 답을 직접적으로 말하지 않고 질문을 계속해서 던짐으로서 메논 자신이 스스로의 무지를 깨닫게 하였다.
플라톤, <메논>
-“덕이란 어떻게 하면 얻을 수 있는 것인가” 라고 질문을 던지는 메논에게 소크라테스는 그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우선 “덕” 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명확히 알아야 한다고 지적한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자신의 답변이 불충분했다는 사실을 인정하게 하여 상대방이 자신의 잘못된 생각을 고쳐 나가도록 한다.
메논 - 양은주 교수 요약 [이용대상]
소크라테스의 산파술 중 특이한 점은 대화의 마지막에 conclusion 이나 답변을 내리지 않고 대화가 끝난다는 것이다.
소크라테스의 산파술의 본래적 의미는 진리에 대한 인식보다는 대화를 통해 진리에 따르는 그들의 실천을 유도하기 위함이었다.
메논 - 양은주 교수 요약 [이용대상]
Download : 양은주교수-메논요약.hwp( 79 )
소크라테스는 주제에 상관없이 대화를 나누었는데 주로 도덕적이나 윤리적인 문제가 대화의 중심이 되었다.
레포트 > 기타
끊임없이 질문하고 대답하는 이 방식을 문답법 또는 산파술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