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니체의 실존주의 철학 / 니체의 실존주의 철학 실존의 목적을 가르치는 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20:17
본문
Download : 니체의_실존주의_철학.hwp
하지만 가장 해로운 인간 역시도 종의 보전이라는 관점에서는 언제나 가장 이로운 인간일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그는 자기 자신에게, 그리고 그의 작용을 통해 다른 사람들에게, 어떤 충동들을 유지시켜 주었기 때문인데, 그 충동들이 없었더라면 인류는 오래 전에 쇠약해지거나 부패해버렸을 것이다. - 하지만 그것이 지금까지 우리 종을 보전해왔다는 것은 증명될 수 있다아 나는 아직 모르겠다, 나의 사랑하는 동포요 이웃이여, 네가 도대체 종에게 불리하게, 즉 `비이성적`이고 `나쁘게` 살아갈 수 있는지를. 종에게 해를 끼칠 수 있는 것은 아마도 수천 년 이래로 이미 사멸해버려서 이제는 신조차도 더 이상 어쩔 수 없는 일이 되어 버린 것 같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고려를 하고 전체[적인 작용]에 대해 더 긴 숙고를 하게 되면, 우리는 이러한 분명한 구분과 분리 행위를 신뢰하지 않게 될 것이고, 끝내는 그것을 단념할 것이다. 증오, 남의 불행을 보고 기뻐하는 것, 약탈욕과 지배욕, 그리고 지금까지 악하다고 불려왔던 모든 것, 그것은 종의 보전을 위한 놀라운 경제에 속한다. 물론 말할 것도 없이 그것은 비용이 많이 들고 낭비적이며 전체적으로 가장 어리석은 경제이긴 하지만 말이다.
인문사회 니체의 실존주의 철학 / 니체의 실존주의 철학 실존의 목적을 가르치는 자.
[인문사회] 니체의 실존주의 철학 / 니체의 실존주의 철학 실존의 목적을 가르치는 자.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설명
순서
니체의 실존주의 철학 실존의 목적을 가르치는 자. - 내가 좋은 시선으로 인간들을 보건 나쁜 시선으로 인간들을 보건, 나는 인간 전체이건 특별히 각 개개인이건 간에 그들이 하나의 課題에 매달려 있다는 것을 발견한다 인간 종의 보전에 도움이 되는 것을 행하는 것. 더군다나, 실제로는 이 종에 대한 사랑의 감정에서가 아니라, 단순히 그에게 저 [보존] 본능보다 더 오래되고 더 강하고 더 무자비하고 더 이기기 어려운 것이 없기 때문에, - 이 본능이 정말로 우리 종과 우리네 무리의 본질이기 때문에 그런 것이다. 우리는 아주 재빠르게, 습관적인 근시안을 가지고, 다섯 걸음 떨어져서 우리의 이웃을 이로운 인간과 해로운 인간, 선한 인간과 악한 인간으로 분명하게 분리하는 것이 보통이다. 너의 가장 좋은 욕구와...
Download : 니체의_실존주의_철학.hwp( 48 )





니체의 실존주의 철학 실존의 목적을 가르치는 자. - 내가 좋은 시선으로...
니체의 실존주의 철학 실존의 목적을 가르치는 자. - 내가 좋은 시선으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