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가는 상생의 길] (38·끝)총결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2 01:08
본문
Download : 091021110524_.jpg
19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관에서 열린 중기중앙회와 삼성전자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을 위한 협력 협약’ 자리에서 양측 대표가 던진 말이다. 대기업들은 2·3차 협력사를 지원하기가 ‘막연하다’는 목소리도 있다. 기업들과 지원기관, 政府(정부)의 상생 협력 관련 사업 추진 실태과 문제점을 입체적으로 점검하고, 올바른 대안과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출발한 길이 아홉 달여 이어졌다. 이들이 상생에 나설 수 있도록 政府(정부)는 實態 파악과 함께 참여기업에는 인센티브 등을 부여하고 그렇지 않은 기업은 政府(정부)사업 참여를 제한하는 등의 조치가 가능하다.
역시 상생도 조건이 맞아야 된다. 상생협력을 통해 시장에 맞게 alteration(변화) 하고, 미래를 향해 성장하는 기업과 政府(정부), 지원 기관들의 책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들보다는 2·3차 협력사들이 대기업의 지원을 애타게 기다리고 있다. 현대기아차그룹도 100억원 규모의 친environment 자동차 개발비 무상 지원, 300억원 규모의 상생협력 펀드 조성 등에 나섰다.
“대기업의 매출과 시장 점유율이 지금보다 3∼4배 높아지려면 협력업체는 30∼40배 강해져야 합니다. 이제 막 싹을 틔우기 시작한 상생 文化(문화)를 더욱 확고히 뿌리내리고 큰 거목으로 키워 우리 경제의 든든한 버팀목으로 키우는 것이 남은 과제(problem)다. 신용보증기관은 직접 자금을 지원하는 것이 아닌 보증이라는 간접방식을 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주목되는 것이 신용보증기관을 통한 지원이다. 양쪽의 경쟁력이 극복할 수 없을 만큼 격차가 난다면 진정한 상생은 불가능합니다. 사실 2·3차 협력사는 여러 대기업에 하도급하고 있다. 우리 산업계와 사회에 상생 마인드가 널리 퍼지고, 실천적 움직임이 일어난 작은 alteration(변화) 를 목도한 것만으로도 큰 성과다. 앞으로는 생색내기가 아닌 서로의 실익을 바탕으로 한 윈윈효율를 발휘해야 한다. 그동안의 대·중소기업 상생은 대외적으로 ‘보여주기’ 모습을 많이 띤 것이 사실이다.”-김반석 LG화학 부회장
[더불어가는 상생의 길] (38·끝)총결산
경기 위축 영향으로 자금 조달에 애를 먹고 있는 중소 협력업체를 대상으로 대기업들이 직접 자금 지원에 나섬으로써 협력업체를 ‘진정한 파트너’로 인정하는 분위기가 자리 잡았다는 평가다. 기술 지원이나 경영컨설팅처럼 비자금적 상생은 물론이고 공정거래 협약, 현금성 결제 등도 양 주체 간 격차가 어느 정도 좁혀지지 않으면 제대로 된 효율를 기대할 수 없다.
‘상생(相生), 이상향에서 이제는 실천으로.’
전자신문이 연초부터 진행해 온 ‘더불어 가는 상생의 길’ 기획이 37회로 끝을 맺는다. 사회공헌에 부적합한 기업들은 글로벌 시장에서 불이익의 우려가 높다.
Download : 091021110524_.jpg( 67 )
[더불어가는 상생의 길] (38·끝)총결산
이진호기자 jholee@etnews.co.kr
어떤 난제와 난관도 풀어가는(solution) 것이 상생협력의 중요한 목적이다. 물론 거래를 위한 조건은 아니다.
글로벌 경쟁 environment은 협력도 글로벌 범위에서 이뤄져야 함을 말해주고 있다. 최근 대·중소기업협력재단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개별 대기업 mean or average(평균) 1665억원의 상생 자금을 지원, 작년보다 33% 늘어났다. 국내에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서도 세계를 향해 팔을 뻗은 기업들이 우리 생태계를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게 진화시키는 중심 역할을 해야 한다고 우리 산업계는 믿고 있다. 이 같은 수치는 상호출자제한을 받는 41개 그룹의 주요 100대 기업 중 38개사만을 대상으로 조사했다는 점에서 실제로 집행된 상생협력 자금 규모는 더욱 클 것이라는 분석이다.”-김용근 산업기술진흥원장
상생이 필수인 시대다. 마찬가지로 1차 협력사가 중요하듯이 2·3차 협력사들도 대기업이 지속 성장을 위해서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내년에는 기업의 사회적 공헌 요구를 담은 ISO26000 국제표준이 발효된다.”-이윤우 삼성전자 부회장
이들의 발언처럼 대·중소기업 상생은 기업의 지속경영을 위해 더 이상 미뤄서도 무시해서도 안 되는 核心(핵심) 정책 과제(problem)가 됐다.
“중소기업과 대기업은 이와 잇몸과 같은 상호 보완적인 관계다.
[더불어가는 상생의 길] (38·끝)총결산





전자신문이 1년여에 걸쳐 진행한 특별기획 ‘더불어 가는 상생의 길’에서 살펴본 우리나라 기업과 政府(정부)의 상생 文化(문화)는 크게 개선되고 있는 것이 뚜렷했다. 기업의 상황과 규모에 맞는 政府(정부)의 적합한 가이드라인은 기업들에 분명 자극 요소가 될 것이다. 政府(정부) 측에서도 업계를 적극 독려할 충분한 이유가 된다.
◆산업계 인사들이 밝힌 상생 지론
올해 삼성전자와 LG전자·현대기아차·포스코 등 국내 주요 38개 대기업의 중소기업 상생협력 지원 자금 규모는 6조2800억요인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을 제공하는 대기업만의 경쟁력 제고는 상생이 가져올 수 있는 효율의 절반도 안 된다. 인사·재무·개발·제조·혁신 분야의 전문 임원 출신으로 구성된 컨설팅단은 세계적인 전자업체로 자리 매김한 삼성전자의 시스템 경영을 협력사에 효율적으로 전달함으로써 경제 위기를 함께 타개하기 위한 조치로 주목을 받았다. 이 경영컨설팅으로 생산성을 30% 이상 끌어올린 협력사도 등장했다. 그리고 앞으로 우리 경제의 지속 성장을 위해서는 이 정책들이 더욱 확대 발전해야 한다. 이번 기획 시리즈에서 보았듯이 신용보증기관은 기업의 출연금을 12배 안팎에서 보증 지원한다. 또 협력사 대금 지급을 세금계산서 발행일로부터 15일 이내에 현금 결제하도록 해 실질적인 이익을 공유했다.
“한국HP와 한국 내 파트너기업들이 양질의 공동 비즈니스 체계를 세워 21世紀를 주도할 비즈니스 생태계를 구축하고자 한다”-한국HP
설명
삼성전자 협력사 관계자는 “중소기업이 갖추기 힘든 경영관리 및 경영혁신에 대한 삼성전자의 앞선 시스템을 전파해 준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이라며 “생산방식 혁신 등을 거쳐 실제 현장에서 효율가 검증되고 있다”고 밝혔다. 모두는 아니지만 상당수 1차 협력사는 사실상 대기업의 든든한 지원을 받으며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와 함께 상생협력에 대한 명확한 정의(定義)와 함께 상생협력을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 등도 필요하다. 내재적 기술과 독자적 능력으로 해결하는 것도 바람직하지만, 주변 파트너와 협력해 생태계 전체의 발전과 진화를 이뤄낸다면 그 산업적 가치는 독자적 해결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클 수밖에 없다.
이러한 상생 노력은 올해 극심한 글로벌 경기 불황에도 불구하고 삼성전자·LG전자·현대기아차 등 우리나라 대표 기업의 경쟁력 향상에 또 다른 요인이 됐다는 평가다. 그보다 훨씬 더 중요한 것은 협력을 받는 중소기업이 성장을 위한 자기 기반을 닦고, 대기업보다 더 빠른 몸놀림으로 빠르게 경쟁력을 높이는 일이다.
삼성전자는 상생협력실을 중심으로 올 3월부터 ‘협력사 경영컨설팅단’을 구성, 모기업의 경험과 지식을 중소기업에 전달하고 있다. GS그룹 9개 계역 도 최근 1000여개 중소 협력사를 대상으로 한 상생펀드를 마련하고 실질적인 지원에 나섰으며 SK그룹도 12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해 자금난을 겪는 중소 협력사를 지원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상생에 나서는 대기업들은 그렇게 많지 않다. 실효성이 떨어지는 대표적인 지원이 바로 ‘1차 협력사’ 지원이다.
현장에 제시될 수 있는 성공적인 상생의 지향 모델이라 할 수 있다.”-차정운 RF텍 사장
순서
◆상생협력 활성화를 위한 제언
“중소기업과 대기업은 기술·정보·노하우를 공유해 서로 상생협력해야 경제가 발전할 수 있다. 또 자금을 지원받은 중소기업 수도 260개로 작년보다 1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로가 쫓기듯 다급하게 상생을 추진하는 것이 아니라 경쟁력 격차를 줄인 상태에서 준비된 상생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가 내디딘 첫걸음이 상생의 거대한 물결로 되돌아올 것을 기대한다.
[더불어가는 상생의 길] (38·끝)총결산
“상생의 기본은 모회사(대기업)와 협력 회사(중소기업)의 경쟁력이 적절하게 조화를 이뤄야 한다는 것입니다. 우리 경제의 지속 발전을 위해서는 대·중소기업 간 동반성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
대기업과 중소기업은 물론이고 政府(정부)와 업계 및 소비자를 아우르는 상생 文化(문화)가 빠르게 자리 잡고 있다.
政府(정부)도 대·중소 상생 분위기 확산을 위해 역할을 할 수 있다.
레포트 > 기타
양종석기자 jsyang@etnews.co.kr
이 같은 자금 지원 외에 다양한 기술 지원과 컨설팅을 거쳐 협력업체들이 세계적인 수준의 경쟁력을 갖춘 기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대기업도 크게 늘었다.
다.”-원우연 에스아이플렉스 사장
이를 위해 우선 실효성 확보가 요구된다. 그동안 구두선 차원에 머물던 상생 정책과 인프라 구축, 개별 기업의 실천 노력이 크게 개선됐다.
“‘solution 파트너’를 키우고 늘리는 것이 우리의 상생 目標(목표)입니다.
“상생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여전히 많은 기업이 상생에 소극적인 것이 현실이다.
‘남이 하니깐 우리도 한다’가 아닌, ‘서로가 필요에 의해서 한다’는 인식 전환이 시급하다.
LG전자는 올해 협력사를 대상으로 200억원의 직접 대출과 2000억원 규모의 연계 대출 제도를 운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