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철학:지식과 설명(상대주의, 대응론과 실용론, 현대사회의 문제로 적용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2 10:31
본문
Download : [기타] 언어철학.ppt
나름대로의 기준이 되는 틀
문화와 언어
순서
과학이 발달하면서 공간이 축소되고 거리를 단축시켰다고 한다. 그 여성의 집 근처에는 산부인과가 있었다. 과학의 발달로 두 시간 걸리던 일을 2분 만에 끝낼 수 있게 되었다고 시간을 절약했다고 하지만 현실을 보면 현대인들은 누구보다도 바쁘게 살아가고 있다아 시간에 쫓겨서 여유를 찾을 틈도 없이 바쁘게 살아가고 있는 사실로 미루어 볼 때 과학의 발달로 인한 시간과 공간, 거리의 단축이 진정한 의미의 그것이라고 볼 수 있는가?
1. 상대주의
과학의 발달로 인해 소요 시간이 단축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로 인해 ‘판단의 기준이 되는’ 잣대가 더 짧아진 것이다
- 문화상대주의
사회연구의 철학
시간 인식의 관념
원시 사회와 현대 사회. 어느 쪽이 더 여유로운가?
아무리 과학의 발달로 절대적으로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었다고 해도 지식의 주체 인식자가 그렇게 느끼지 않는다면 의미가 없다
과연 우리는 원시 사회와 비교했을 때 더 여유로운 삶을 살아가고 있는가? -> 인식하는 주체의 주관적인 판단
한국에서의 녹색정치, 녹색국가
현대 과학의 발전과 시공간의 단축부제 : 시공간 인식의 상대성
2. 대응론과 실용론
단국대학교출판부l 1992.01.01
윌리엄제임스얼 l 한상기 l 원미사 l 2006년 08월 30일
- 언어게임理論(이론)
상대성 <-> 절대성 인식 및 연구의 대상이 그 자체로서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인식주체의 의식과 관련성을 가진 것
발표의 흐름
언어 이해를 통한 文化(문화)상대주의 접근
![[기타] 언어철학-9062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805/%5B%EA%B8%B0%ED%83%80%5D%20%EC%96%B8%EC%96%B4%EC%B2%A0%ED%95%99-9062_01.gif)
![[기타] 언어철학-9062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805/%5B%EA%B8%B0%ED%83%80%5D%20%EC%96%B8%EC%96%B4%EC%B2%A0%ED%95%99-9062_02_.gif)
![[기타] 언어철학-9062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805/%5B%EA%B8%B0%ED%83%80%5D%20%EC%96%B8%EC%96%B4%EC%B2%A0%ED%95%99-9062_03_.gif)
![[기타] 언어철학-9062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805/%5B%EA%B8%B0%ED%83%80%5D%20%EC%96%B8%EC%96%B4%EC%B2%A0%ED%95%99-9062_04_.gif)
![[기타] 언어철학-9062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805/%5B%EA%B8%B0%ED%83%80%5D%20%EC%96%B8%EC%96%B4%EC%B2%A0%ED%95%99-9062_05_.gif)
발표의 흐름 1. 상대주의 - 시공간 인식의 상대성 - 언어게임이론 - 문화상대주의 2. 대응론과 실용론 - 언어그림이론 - 대응론과 실용론 3. 현대사회의 문제로 적용 - 사이공간과 인식론 - 녹색화와 인식론 사회연구의 철학 존 휴즈 l 이기홍 l 한울(한울아카데미) l 2000년 11월 01일 현대철학의이해 윌리엄제임스얼 l 한상기 l 원미사 l 2006년 08월 30일 문화와 언어 단국대학교출판부l 1992.01.01 한국에서의 녹색정치, 녹색국가 구도완 l 당대 l 2002년 06월 29일
문제 제기
- 언어그림理論(이론)
3. 현대사회의 문제로 적용
존 휴즈 l 이기홍 l 한울(한울아카데미) l 2000년 11월 01일
<언어 게임이론>-경험주의적 관점에 입각한 언어게임이론-#문제 제기 -문제 제기-언어 게임이론이란-질문 ‘남자’라는 단어를 떠올리고 언어로 표현했을 때 이는 동일한 의미의 ‘남자’로 생각할 수 있는가?
시간의식은 공간에 고정적으로 위치한 점들의 나열로부터 구성되는 것이 아닐것이다. 하지만 그러한 정이는 절대적으로 옳다고 말하기 어렵다. 또 다른 예로, 우리는 세탁기를 사용하면서 그만큼 빨래는 하는 시간을 절약했기 때문에 아주 편리하다고 생각한다.
- 시공간 인식의 상대성
과학 발달로 인한 시간의 단축 -> 인식 주체의 의식과 연결해야 함
Download : [기타] 언어철학.ppt( 86 )
언어철학:지식과 설명(상대주의, 대응론과 실용론, 현대사회의 문제로 적용 )
다. 참으로 의아한 일이지만 사실이 그렇다. 예를 들어 보자. 임신을 한 어느 여성이 있었다.
- 녹색화와 인식론
현대철학의이해
- 대응론과 실용론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 사이공간과 인식론
언어게임이론, 문화상대주의, 대응론과 실용론, 언어그림이론, 사이공간과 인식론
구도완 l 당대 l 2002년 06월 29일
설명
과학 기술의 발달로 시간 판단의 기준점이 더 짧아졌고, 결국 과거에 비해 현대 사람들이 더 많이 바쁘다고 느낄 수밖에 없는 것이다. 평소에 이 거리는 그 여성이 걸어서 30분에 갈 수 있는 거리지만 차로 가면 5분이면 갈 수 있다아 그러나 그 여성이 아이를 낳기 위해 진통을 느끼면서 차로 갈 때의 그 시간은 5분이 아니라 마치 5시간처럼 느껴졌다. 왜냐하면 그러한 공간과 거리의 축소가 실제적인 축소가 아니라 시간의 단축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그렇다고 느끼는 것이기 때문일것이다 그러나 그것마저도 인식주체가 그렇게 인식하지 않는다면 옳은 정이라고 말하기 어렵다. 그렇지만 그렇다고 우리가 그 절약된 시간으로 인해서 여유롭게 살고 있는가? 시간을 절약했다고 하면서도 그 절약된 시간만큼 여유를 느끼지도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