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의 발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30 09:43본문
Download : 고구려의 발전_1118618.hwp
즉위 다음해인 372년 전진에서 보…(drop)
다.
설명
고구려의 발전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고구려의 발전_1118618.hwp( 97 )
레포트/인문사회
0333 , 고구려의 발전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0333
돌이켜보면, 시련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었다. 왕실의 권위가 추락하고 국력이 약화된 틈을 타 백제는 북진을 감행했다. ‘삼국사기’는 그가 “몸이 장대하고 웅략(뛰어나고 큰 계략)을 가졌다”고 기록하고 있따 소수림왕이 펼친 개혁 정책에는 그의 인물 됨됨이가 잘 나타나있따
소수림왕은 먼저 급선무인 외적의 침략을 막기 위해, 중국(China) 북조의 새로운 강국인 전진(前秦)과의 외교 교섭을 서둘렀다. 아버지인 고국원왕은 홀로 말을 타고 달아나 겨우 목숨만 건졌다. 이보다 30여년전 고구려는 선비족이 세운 전연(前燕)의 공격을 받아, 수도인 환도성이 함락되는 참패를 당했다. 이런 난국에 고국원이 어이없게 죽고 말았으니, 천손(天孫)을 자부하던 고구려왕의 권위는 땅에 떨어지고 국가는 일대 위기를 맞았던 것이다.
고국원왕은 전연에 대해 굴욕적인 외교를 할 수밖에 없었다.
소수림왕은 이런 위기를 기회로 활용할 줄 아는 탁월한 리더십을 지닌 군주였다. 그가 보여준 행적과 정책은 소수림왕이 복수심조차 조절할 만큼 감정을 절제한, 뛰어난 지도자였음을 확인시켜준다. 미천왕의 시신은 다음 해에 돌려 받았으나 왕의 어머니는 13년 후에야 돌아올 수 있었다. 고국원왕은 선왕인 미천왕의 무덤이 파헤쳐져 시신이 끌려갈 뿐 아니라, 왕모(王母)와 왕비를 포함한 5만 명이 포로로 잡혀가는 치욕을 지켜봐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