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말유학의 양대 조류:정통의 화이(화이)론과 유교 개조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6 01:59
본문
Download : 한말유학의 양대 조류정통의 화이(화이)론과 유교 개조론.hwp
그 대표적인 것이 특히 가부장적인 권위의식, 또는 여성차별적인 남성중심주의의 사상이 그러하다. 유학정신을 우리 문화의 주체적 내용으로 인정하면서, 바로 현실에 맞는, 말하자면 서방의 우세한 기술문명을 소화해낼 수 있는 우리의 정신적 역량을 번쇄(번쇄)한 주자학에서가 아니라 -- 주체적 양심[양지]에 따른 간결 명료한 실천을 역설하는 -- 양명학에서 찾았던 박은식이나 전통적인 유교의 정치원칙에 따라 민심을 얻을 수 있는 신의의 정치를 역설한 금윤식의 유교개량론은 -- 조선조의 멸망과 함께 -- 모두 이를 실천해낼 공간이 일제에 의해 강탈당했기 때문에 더 이상 실행에 옮겨질 수가 없었다.
,인문사회,레포트
양대322 , 한말유학의 양대 조류:정통의 화이(화이)론과 유교 개조론인문사회레포트 ,
우리는 이제까지의 기술을 통하여, 전통적 한국유학의 속성 은 주자학 연구의 심화를 기초로한 절대적 중화중심주의에서 찾아 볼 수 있으며, 이들의 일관된 세계관은 서세동점의 과정 속에서 개화적대적인 중화문화중심적 보수주의의 한계를 넘지 못하였음을 알 수 있따 그들이 아무리 결연한 항일민족주의의 투사로 변신했다할지라도 그들은 중화문화에서 독립하는 한국의 독자적인 문화근거를 찾을 수도 제시할 수도 없었다.
사실 유교의 윤리정신은 근대 이전에 형성되어 온 낙후된 전통적인 생활양식 속에서 배양되어 나온 것이기 때문에, 과거 사회의 인간관계를 옹호하고 유지시키려는 유교의 보수적인 한계성은 어쩔 수 없는 시대적인 제약인 것이다. 유교개량주의의 입장에서 중국(中國)의 공자교운동을 우리의 민족혼을 살리는 길로 인식하고 망명지인 만주에서나 국내에서 벌린 공자교운동도 마찬가지로 실패할 수밖에 없었다. 여하튼, 한말에서 20세기 초반까지 아직도 한국의 정신세계를 지배하였던 이런 여러 갈래의 유교이념의 운동들은 -- 그들이 서구문물의 유입에 강렬한 저항의식을 가지고 결연히 대결하였지만 -- 결국 당시 제국주의의 식민지 수탈을 극복해내고 또한 스스로 현대적 산업사회를 구축할 수 있는 유교본위의 신문명을 창출해낼 수는 없었다. 따라서 이런 구시대적인 제약에서 자신을 해방시키는 새로운 형태의 유교이념이 …(To be continued )
설명
양대322
레포트/인문사회
한말유학의 양대 조류:정통의 화이(화이)론과 유교 개조론
순서
Download : 한말유학의 양대 조류정통의 화이(화이)론과 유교 개조론.hwp( 26 )
%EB%A1%A0%EA%B3%BC%20%EC%9C%A0%EA%B5%90%20%EA%B0%9C%EC%A1%B0%EB%A1%A0_hwp_01.gif)
%EB%A1%A0%EA%B3%BC%20%EC%9C%A0%EA%B5%90%20%EA%B0%9C%EC%A1%B0%EB%A1%A0_hwp_02.gif)
%EB%A1%A0%EA%B3%BC%20%EC%9C%A0%EA%B5%90%20%EA%B0%9C%EC%A1%B0%EB%A1%A0_hwp_03.gif)
%EB%A1%A0%EA%B3%BC%20%EC%9C%A0%EA%B5%90%20%EA%B0%9C%EC%A1%B0%EB%A1%A0_hwp_04.gif)
%EB%A1%A0%EA%B3%BC%20%EC%9C%A0%EA%B5%90%20%EA%B0%9C%EC%A1%B0%EB%A1%A0_hwp_05.gif)
%EB%A1%A0%EA%B3%BC%20%EC%9C%A0%EA%B5%90%20%EA%B0%9C%EC%A1%B0%EB%A1%A0_hwp_06.gif)
다.